Re : 통계해석문의 3
안녕하세요, 렉스소프트 입니다.
문의 주신 내용 답변 드립니다.
1. 위의 p-value는 군별 정규성을 따르는지 확인하는 값입니다.
ANOVA 분석시 군별 정규성을 이용하여 판단하기도 하고,
일변량분산분석의 정규성검정처럼 오차에 대해서만 판단하기도 합니다.
둘 중 어떤 것으로 하셔도 무방합니다만 현재는 군별 표본수가 적은 편이니
군별 정규성 검정 결과를 이용하시는 것이 적합하다고 판단됩니다.
따라서 본 연구의 경우 정규성을 따르지 않는다고 판단하여
비모수 분석의 k-독립표본 결과로 판단하실 것을 추천드립니다.
2. VAR_1의 경우 p=0.5879 > 0.05로 세 군에서 VAR_1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.
따라서 BMD의 크기에 따라 VAR_1은 차이가 난다고 할 수 없다로 해석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.
이 외의 구체적인 해석은 동영상 강의를 확인하시거나
홈페이지 분석방법의 매뉴얼 예제 부분 참고 부탁 드립니다.
감사합니다.
렉스소프트 드림
문의 주신 내용 답변 드립니다.
1. 위의 p-value는 군별 정규성을 따르는지 확인하는 값입니다.
ANOVA 분석시 군별 정규성을 이용하여 판단하기도 하고,
일변량분산분석의 정규성검정처럼 오차에 대해서만 판단하기도 합니다.
둘 중 어떤 것으로 하셔도 무방합니다만 현재는 군별 표본수가 적은 편이니
군별 정규성 검정 결과를 이용하시는 것이 적합하다고 판단됩니다.
따라서 본 연구의 경우 정규성을 따르지 않는다고 판단하여
비모수 분석의 k-독립표본 결과로 판단하실 것을 추천드립니다.
2. VAR_1의 경우 p=0.5879 > 0.05로 세 군에서 VAR_1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.
따라서 BMD의 크기에 따라 VAR_1은 차이가 난다고 할 수 없다로 해석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.
이 외의 구체적인 해석은 동영상 강의를 확인하시거나
홈페이지 분석방법의 매뉴얼 예제 부분 참고 부탁 드립니다.
감사합니다.
렉스소프트 드림
번호
제목
날짜
조회수
09/16
410
09/16
328
09/16
320
09/01
471
08/28
386
08/25
350
08/23
434
08/23
420
08/22
323
08/17
538
08/16
591
08/14
502
08/13
359